본문 바로가기
경제학

거시경제학

by 경제학 풀이 2023. 11. 9.

거시경제학은 경제학의 분석 단위를 개인과 기업에서 국가 수준으로 확장한 학문 분야를 일컫는다. 거시경제학은 국가적 수준에서의 중요한 경제 문제인 고용과 실업, 인플레이션, 정부의 재정정책과 중앙은행의 통화정책을 연구한다. 미시경제학에서 시장을 분석하는 기본 도구가 수요곡선과 공급곡선이었다면, 거시경제학에서 국가 경제활동을 분석하는 기본 틀은 총수요와 총공급이다. 총수요와 총공급에 따라서 국가의 물가 수준과 총생산량이 도출된다. 거시경제학은 미시경제학의 확장이기 때문에 미시경제학에서 분석의 대상이 되었던 가계, 기업은 당연히 거시경제학의 분석 대상에 포함된다. 이에 더하여 국가와 외국과의 수출 수입 역시 거시경제학의 분석 대상이 된다.

거시경제학의 총수요

거시경제학의 총수요란 한 국가에서 발생하는 모든 수요를 합친 것을 의미한다. 한 국가 내에서 활동하는 경제 주체는 크게 가계, 기업, 정부, 외국 부문으로 나뉜다. 이들이 발생시키는 수요량의 총합으로 총수요가 도출된다. 가계가 발생시키는 수요는 소비이고, 기업이 발생시키는 수요는 투자라고 불린다. 정부가 창출해 내는 수요는 정부 지출이다. 외국 부문에 의해 창출된 수요는 순 수출로, 이는 수출액에서 수입액을 뺀 값이다. 결론적으로 총수요란 가계의 소비 지출, 기업의 투자 지출, 정부 지출, 외국의 순 수출을 합친 것을 의미한다미시경제학에서의 시장 수요곡선이 우하향했듯이, 총수요곡선도 우하향한다. , 총수요는 물가 수준이 높아질수록 줄어들고 물가 수준이 낮아질수록 많아진다. 물가가 떨어졌다는 것은 경제 주체들이 동일한 소득을 갖고 더 많은 재화와 서비스를 소비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물가 수준의 하락은 소비 가계의 소비 증가로 이어진다. 또한 물가가 하락하여 실질 소득이 늘어나면 가계는 저축할 수 있는 여력이 증가한다. 가계의 저축이 증가하면 이자율은 하락하고, 이에 따라 기업은 동일한 자본을 갖고도 더 많은 투자 지출을 할 수 있게 된다. 물가 하락은 또한 이자율 하락으로 이어진다. 이자율의 하락은 자산 시장에서 외국 자본의 이탈로 이어진다. 외국 자본이 이탈로 환율은 상승하는데, 환율 상승은 수출의 증가로 이어져 순 수출은 증가한다. 이에 따라 물가 수준이 하락할수록 총수요량은 늘어나게 되는 우하향의 관계가 성립되는 것이다총공급이란 한 국가에서 경제 주체가 창출해 내는 모든 공급량을 합친 것이다. 총공급은 한 나라의 경제 주체들이 가치 있는 재화와 서비스를 생산하여 팔려고 하는 의지를 의미한다. 그러므로 총공급의 수준은 그 나라가 보유하고 있는 기술력, 생산요소에 의해 좌우된다. 공급곡선이 우상향하는 것처럼, 총공급곡선도 우상향한다. 만약 한 나라의 기술력이 상승한다면 이는 총공급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될 것이다. 향상된 기술로 더 많은 재화와 서비스를 만들어 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노동력이 향상되거나, 자원 및 자본이 증가하는 것도 총공급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된다. 거시경제학의 균형이 달성되는 수준에서 한 국가의 물가 수준과 총생산량이 결정된다. 만약 총공급량보다 총수요량이 많다면, 이는 파는 주체보다 사려는 주체가 더 많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물가는 상승할 것이다. 반대로 총수요량보다 총공급량이 많은 경우는 사고자 하는 사람보다 팔려는 사람이 더 많은 현상으로 수요량의 부족으로 물가 수준은 떨어지게 된다. 결국 총수요량과 총공급량이 일치를 이루는 균형점이 한 국가의 물가 수준이 결정되는 점이다. 그리고 그 물가 수준에서 한 국가가 생산하는 총량이 국내 총생산이 된다.

거시경제학 사진

총수요와 총공급의 변동

총수요와 총공급의 변동이 있으면 물가 혹은 국내총생산 수준에도 변화가 발생한다. 만일 다른 요인이 그대로인 상황에서 물가 수준에 변동이 있다면 총수요량 혹은 총공급량에 변화가 생긴다. , 물가의 상승 혹은 하락으로 인한 변화는 총수요곡선 혹은 총공급곡선 상에서의 변동을 의미한다. 그러나 물가가 아닌 다른 요인에 의해서도 총수요 혹은 총공급에 변동이 있을 수 있다. 물가 수준의 변동이 아닌 외부의 영향으로 인해 총수요 혹은 총공급이 변동된다면 총수요곡선 혹은 총공급곡선 자체가 이동하게 된다총수요곡선은 우하향하고 총공급곡선은 우상향한다. 이 상황에서 만약 외부 충격으로 총수요가 증가하게 되면, 물가 수준은 상승하고 국내 총생산도 증가한다. 반면, 외부 영향으로 총수요가 감소하면, 물가와 국내 총생산 수준은 모두 하락한다. 총수요곡선이 그대로인 상황에서 총공급곡선이 변화할 수도 있다. 만일 외부 요인으로 총공급이 증가하면 국내 총생산은 증가하고 물가 수준은 떨어진다. 반면, 총공급이 감소하면 물가는 상승하는 반면 국내 총생산은 감소하는데 이를 스태그플레이션이라고 부른다. 역사적으로 스태그플레이션은 중동에서 1970년대에 발생한 두 차례의 석유 파동으로 인해 발생했었다. 스태그플레이션은 국민 경제의 두 축인 물가와 실업 수준 모두에서 문제가 나타남을 의미한다. 높은 물가를 해결하기 위해 총수요를 억제하면 실업률이 더욱 증가하게 된다. 높은 실업률을 낮추기 위해 경기 부양책을 쓰면 높았던 물가 수준이 더욱 높아지게 된다. 이처럼 스태그플레이션을 해결하기 위해서 국가가 감당해야 하는 어려움은 크다고 할 수 있다. 스태그플레이션에 대한 효과적인 해결책으로는 줄어든 총공급을 늘릴 수 있는 기술의 발전이 있다.

'경제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플레이션  (0) 2023.11.11
행동경제학  (0) 2023.11.09
환율  (0) 2023.11.09
금리  (0) 2023.11.08
소득과 세금  (0) 2023.11.08